반응형
재무현황 분석 및 투자 가치 평가
첨부하신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의 재무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1. 주요 재무지표 분석
수익성 지표
- 영업이익률: 2022년 13.3%, 2023년 13.6%에서 2024년 8.2%로 크게 하락
- 순이익률: 2022년 2.7%, 2023년 8.4%에서 2024년 -0.2%로 급격히 하락하여 적자 전환
- ROE(자기자본수익률): 2022년 1.9%, 2023년 6.0%에서 2024년 -0.1%로 하락
- ROA(총자산수익률): 2022년 1.0%, 2023년 3.4%에서 2024년 -0.1%로 하락
안정성 지표
- 부채비율: 2022년 66.3%, 2023년 71.9%에서 2024년 55.9%로 개선
- 유동비율: 2022년 249.1%, 2023년 106.6%에서 2024년 215.1%로 회복
- 당좌비율: 2022년 239.8%, 2023년 99.5%에서 2024년 195.5%로 회복
성장성 지표
- 매출액 성장률: 2023년 22.6%에서 2024년 3.6%로 둔화
- 영업이익 성장률: 2023년 24.8%에서 2024년 -37.7%로 급감
- 자산 성장률: 2023년 9.8%에서 2024년 2.5%로 둔화
활동성 지표
- 자산회전율: 2022년 0.36회, 2023년 0.41회, 2024년 0.41회로 유지
- 매출채권회전율: 2022년 8.1회, 2023년 10.1회, 2024년 8.6회
- 재고자산회전율: 2022년 22.4회, 2023년 17.3회, 2024년 13.8회로 감소
2. 현금흐름 분석
- 영업활동 현금흐름: 2022년 3,471억 원, 2023년 3,106억 원, 2024년 1,516억 원으로 지속적 감소 추세
- 투자활동 현금흐름: 2022년 -2,853억 원, 2023년 -4,708억 원, 2024년 -104억 원
- 재무활동 현금흐름: 2022년 -1,882억 원, 2023년 -111억 원, 2024년 -1,180억 원
- 유동성: 현금및현금성자산이 2023년 3,579억 원에서 2024년 4,120억 원으로 증가
3. 재무구조 분석
- 총자산: 2022년 4조 8,704억 원, 2023년 5조 3,457억 원, 2024년 5조 4,792억 원으로 증가
- 자산 구성: 무형자산이 전체 자산의 41.0%(2조 2,443억 원)로 가장 큰 비중 차지
- 부채 감소: 전체 부채가 2023년 2조 2,358억 원에서 2024년 1조 9,654억 원으로 12.1% 감소
- 자본 증가: 자본총계가 2023년 3조 1,099억 원에서 2024년 3조 5,138억 원으로 13.0% 증가
4. 주요 재무 이슈 분석
- 수익성 악화:
- 영업이익이 2023년 2,956억 원에서 2024년 1,840억 원으로 37.7% 감소
- 당기순손실 34억 원 기록 (2023년은 1,834억 원 순이익)
- 영업현금흐름 감소:
-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2022년 3,471억 원, 2023년 3,106억 원, 2024년 1,516억 원으로 지속 감소
- 재무구조 개선:
- 부채비율 감소 (2023년 71.9% → 2024년 55.9%)
- 유동비율 개선 (2023년 106.6% → 2024년 215.1%)
- 무형자산 의존성:
- 자산의 41.0%가 무형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무형자산 가치 하락 시 위험 존재
- 주주환원 정책 도입:
- 2024년 첫 배당금 지급 (292억 원) 및 자사주 매입 (261억 원) 실시
5. 투자 가치 평가
긍정적 요소
- 견고한 재무구조:
- 부채비율 개선, 유동성 양호
- 현금성자산 4,120억 원 보유로 재무적 안정성 확보
- 꾸준한 매출 성장:
- 2024년 매출액 3.6% 증가,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 주주환원 정책 도입:
- 배당금 지급과 자사주 매입 실시로 주주가치 제고 노력
부정적 요소
- 수익성 악화:
- 영업이익률 하락 및 순손실 기록
- 판매비와관리비 증가 (2023년 7,134억 원에서 2024년 7,758억 원)
- 영업현금흐름 감소:
- 영업활동 현금흐름 지속 감소로 장기적 수익 창출 능력에 의문
- 성장 둔화:
- 매출 성장률 둔화 (2023년 22.6%에서 2024년 3.6%)
- 핵심 비즈니스의 성장 동력 약화 가능성
6. 종합 평가
이 회사는 재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무형자산 비중이 높고 영업현금흐름이 감소하는 점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투자 관점 종합 의견
중립적 관망 (Neutral Hold):
-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꾸준한 매출 성장은 긍정적이나, 수익성 악화와 영업현금흐름 감소는 부정적 요소
- 현 시점에서 신규 투자보다는 회사의 수익성 회복 전략과 향후 실적 개선 여부를 지켜본 후 투자 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미 보유 중인 투자자라면 급격한 매도보다는 향후 1~2분기 실적을 확인한 후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됨
추가적인 정보로 이 회사의 산업 분야, 사업 모델, 경쟁 환경, 성장 전략 등을 파악하면 보다 정확한 투자 판단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이 분석은 과거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한 것이므로, 향후 경영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투자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공시 삼성전자 재무제표 분석 - 삼성전자 지금이라도 살까 말까? (0) | 2025.04.02 |
---|---|
25년 공시 삼성전자 재무제표 분석 (0) | 2025.04.02 |
25년 공시 토스씨엑스 재무제표 분석 - 토스 상장 관련주 (0) | 2025.04.02 |
25년 공시 카카오 재무제표 분석 (2) | 2025.04.01 |
25년 공시 토스인슈어런스 재무제표 분석 - 토스 상장 관련주 (2)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