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국내주식

25년 공시 토스뱅크 재무제표 분석 - 토스 상장 관련주

seeyo 2025. 4. 9. 15:06
반응형

2025. 4. 7. 토스(비바리퍼블리카)의 계열사 중 하나인 토스뱅크의 감사보고서가 공시되었습니다. 
25년 토스가 상장을 목표로 하는만큼 소속 계열사들의 재무분석과 가치평가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토스뱅크에 관한 아래 주요 재무지표들을 정리하였으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토스뱅크 재무현황 분석

토스뱅크의 재무제표를 분석해보겠습니다. 다양한 재무지표를 계산하고 토스뱅크의 재무 건전성, 수익성, 성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겠습니다.

1. 기본 재무정보 요약

자산 및 부채 현황 (2024년 12월 31일 기준)

  • 총자산: 29조 7,294억원 (전년 대비 15.5% 증가)
  • 총부채: 28조 1,214억원 (전년 대비 16.0% 증가)
  • 자본총계: 1조 6,080억원 (전년 대비 6.8% 증가)

손익 현황 (2024년)

  • 순이자이익: 7,641억원 (전년 대비 37.7% 증가)
  • 당기순이익: 457억원 (전년은 175억원 순손실)

2. 주요 재무비율 분석

2.1 수익성 지표

ROA (자산수익률)

  • 2024년: 0.15% (45,708백만원 ÷ 29,729,371백만원)
  • 2023년: -0.07% (-17,459백만원 ÷ 25,738,679백만원)

ROE (자기자본수익률)

  • 2024년: 2.84% (45,708백만원 ÷ 1,608,022백만원)
  • 2023년: -1.16% (-17,459백만원 ÷ 1,505,294백만원)

순이자마진(NIM)

  • 2024년: 2.57% (순이자이익 764,106백만원 ÷ 평균 자산 29,734,025백만원)
  • 2023년: 2.16% (순이자이익 554,754백만원 ÷ 평균 자산 25,738,679백만원)

비용수익비율(Cost-Income Ratio)

  • 2024년: 28.01% (일반관리비 213,987백만원 ÷ 영업이익 764,106백만원)
  • 2023년: 32.19% (일반관리비 178,555백만원 ÷ 영업이익 554,754백만원)

2.2 건전성 지표

자기자본비율

  • 2024년: 5.41% (자본총계 1,608,022백만원 ÷ 총자산 29,729,371백만원)
  • 2023년: 5.85% (자본총계 1,505,294백만원 ÷ 총자산 25,738,679백만원)

대출채권 비중

  • 2024년: 60.74% (대출채권 18,056,604백만원 ÷ 총자산 29,729,371백만원)
  • 2023년: 51.85% (대출채권 13,346,483백만원 ÷ 총자산 25,738,679백만원)

예수부채 비중

  • 2024년: 92.60% (예수부채 27,529,423백만원 ÷ 총부채 28,121,349백만원)
  • 2023년: 97.86% (예수부채 23,714,485백만원 ÷ 총부채 24,233,385백만원)

신용손실충당금 비율

  • 2024년: 2.90%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524,636백만원 ÷ 대출채권 18,056,604백만원)
  • 2023년: 2.57%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342,672백만원 ÷ 대출채권 13,346,483백만원)

2.3 성장성 지표

자산 증가율

  • 2024년: 15.5% ((29,729,371백만원 - 25,738,679백만원) ÷ 25,738,679백만원)

대출채권 증가율

  • 2024년: 35.3% ((18,056,604백만원 - 13,346,483백만원) ÷ 13,346,483백만원)

예수부채 증가율

  • 2024년: 16.1% ((27,529,423백만원 - 23,714,485백만원) ÷ 23,714,485백만원)

순이자이익 증가율

  • 2024년: 37.7% ((764,106백만원 - 554,754백만원) ÷ 554,754백만원)

3. 종합 분석

3.1 수익성 분석

토스뱅크는 2024년에 당기순이익 45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도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했습니다. 순이자이익이 37.7% 증가했고, ROA와 ROE 모두 양수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러나 ROA 0.15%, ROE 2.84%는 일반적인 은행업 평균보다 다소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순이자마진(NIM)이 2.57%로 전년 대비 개선되었으며, 비용수익비율이 28.01%로 효율성이 향상된 점은 긍정적입니다. 다만 신용손실충당금이 5,246억원으로 전년 대비 53.1% 증가한 것은 대출자산 증가에 따른 위험 증가를 반영합니다.

3.2 재무안정성 분석

자기자본비율이 5.41%로 전년 대비 약간 하락했으나, 이는 자산 성장 속도가 자본 증가 속도보다 빨랐기 때문입니다. 은행의 규제 자본비율과 비교했을 때 다소 낮은 수준일 수 있습니다.

예수부채가 총부채의 92.60%를 차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자금조달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대출채권 비중이 60.74%로 증가하고 신용손실충당금 비율도 상승한 점은 신용위험이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3.3 성장성 분석

총자산 15.5%, 대출채권 35.3%, 예수부채 16.1% 등 모든 주요 항목에서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성장성이 뛰어납니다. 특히 대출채권의 높은 성장률은 공격적인 영업 확대를 시사하지만, 이에 따른 잠재적 부실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3.4 현금흐름 분석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7,729억원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투자활동에서 8,958억원의 양의 현금흐름을 창출하여 현금 포지션을 개선했습니다. 이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의 처분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4. 투자 관점 평가

장점

  • 흑자 전환 및 순이자이익의 강한 성장세
  • 높은 자산 및 대출 성장률
  • 비용효율성 개선
  • 안정적인 예금 기반 자금조달 구조

단점

  • 여전히 낮은 ROA 및 ROE
  • 누적 결손금 3,431억원 보유
  • 자기자본비율 하락 추세
  • 신용손실충당금 증가에 따른 자산건전성 우려

투자 적합성 평가

토스뱅크는 2024년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성장 단계 금융기관: 설립 후 5년 차로, 아직 누적 결손금이 있어 당분간 배당 가능성은 낮습니다.
  2. 위험-수익 프로필: 높은 성장률은 매력적이나, 신용손실충당금 증가는 위험 증가를 시사합니다.
  3. 경쟁력: 디지털 뱅크로서 낮은 비용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금리 경쟁 환경에서 수익성 유지 여부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4. 자본 적정성: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고 있어 향후 추가 증자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토스뱅크는 성장 단계에 있는 도전적인 투자로, 높은 성장 잠재력과 디지털 금융 경쟁력이 있으나 단기적 수익성과 자산건전성 관련 위험이 있습니다. 중장기 성장에 베팅할 수 있는 투자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믿는 투자자에게 적합할 수 있으나, 안정적인 배당과 검증된 수익성을 원하는 보수적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