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공시된 네이버의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이 회사의 재무현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
1. 성장성 분석
매출(영업수익) 성장률
- 25기(2023년): 17.6% (9,670십억원 / 8,220십억원 - 1)
- 26기(2024년): 11.0% (10,737십억원 / 9,670십억원 - 1)
회사는 최근 3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성장률은 다소 둔화되었지만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하고 있어 긍정적입니다.
영업이익 성장률
- 25기(2023년): 14.1% (1,488십억원 / 1,304십억원 - 1)
- 26기(2024년): 32.9% (1,979십억원 / 1,488십억원 - 1)
영업이익 성장은 매우 강력하며, 특히 26기에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당기순이익 성장률
- 25기(2023년): 46.3% (985십억원 / 673십억원 - 1)
- 26기(2024년): 96.1% (1,931십억원 / 985십억원 - 1)
당기순이익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2년간 거의 3배로 증가했습니다.
2. 수익성 분석
영업이익률
- 24기(2022년): 15.9% (1,304십억원 / 8,220십억원)
- 25기(2023년): 15.4% (1,488십억원 / 9,670십억원)
- 26기(2024년): 18.4% (1,979십억원 / 10,737십억원)
영업이익률은 26기에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매출 대비 비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순이익률
- 24기(2022년): 8.2% (673십억원 / 8,220십억원)
- 25기(2023년): 10.2% (985십억원 / 9,670십억원)
- 26기(2024년): 18.0% (1,931십억원 / 10,737십억원)
순이익률이 26기에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회사의 전반적인 비용 구조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합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 24기(2022년): 2.9% (673십억원 / 23,450십억원)
- 25기(2023년): 4.1% (985십억원 / 24,237십억원)
- 26기(2024년): 7.2% (1,931십억원 / 27,000십억원)
ROE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투자자 자본에 대한 수익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ROA (총자산이익률)
- 24기(2022년): 2.0% (673십억원 / 33,899십억원)
- 25기(2023년): 2.8% (985십억원 / 35,737십억원)
- 26기(2024년): 5.1% (1,931십억원 / 38,167십억원)
ROA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자산 활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3. 안정성 분석
부채비율
- 24기(2022년): 44.6% (10,448십억원 / 23,450십억원)
- 25기(2023년): 47.4% (11,499십억원 / 24,237십억원)
- 26기(2024년): 41.4% (11,166십억원 / 27,000십억원)
부채비율이 26기에 감소했으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동비율
- 24기(2022년): 117.5% (6,439십억원 / 5,480십억원)
- 25기(2023년): 111.5% (7,028십억원 / 6,305십억원)
- 26기(2024년): 153.9% (9,374십억원 / 6,092십억원)
유동비율이 26기에 크게 개선되었으며, 단기 지급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당좌비율
- 24기(2022년): 117.3% ((6,439십억원 - 8.6십억원) / 5,480십억원)
- 25기(2023년): 111.2% ((7,028십억원 - 14.8십억원) / 6,305십억원)
- 26기(2024년): 153.5% ((9,374십억원 - 21.7십억원) / 6,092십억원)
당좌비율도 크게 개선되어 단기 유동성이 강화되었습니다.
4. 현금흐름 분석
영업현금흐름
- 24기(2022년): 1,453십억원
- 25기(2023년): 2,002십억원
- 26기(2024년): 2,589십억원
영업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업의 실질적인 현금 창출 능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잉여현금흐름(FCF) (영업현금흐름 - 유형자산 취득)
- 24기(2022년): 752십억원 (1,453십억원 - 700십억원)
- 25기(2023년): 1,361십억원 (2,002십억원 - 640십억원)
- 26기(2024년): 2,035십억원 (2,589십억원 - 553십억원)
잉여현금흐름이 26기에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회사가 투자와 배당을 위한 여유 자금이 늘어났음을 의미합니다.
5. 투자 지표 분석
EPS (주당순이익)
- 24기(2022년): 5,007원
- 25기(2023년): 6,661원
- 26기(2024년): 12,702원
EPS가 26기에 급격히 상승했으며, 이는 주주가치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배당현황
- 24기(2022년): 213.3십억원
- 25기(2023년): 62.4십억원
- 26기(2024년): 118.9십억원
26기에 배당금이 증가했으나, 24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입니다. 배당성향(배당금/당기순이익)은 감소했습니다.
자사주 매입
- 26기(2024년): 405십억원의 자사주 매입을 실시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투자 가치 평가
강점
- 강력한 이익 성장: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수익성 개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현금 창출력 강화: 영업현금흐름과 잉여현금흐름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재무적 안정성: 부채비율이 감소하고 유동비율이 증가하는 등 재무 건전성이 강화되었습니다.
- 주주가치 향상: EPS가 크게 증가했으며,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
- 관계기업 의존도: 자산 중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약 45.6%), 관계기업의 성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무형자산 비중: 무형자산이 총자산의 약 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치 평가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매출 성장률 둔화: 매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는 추세이므로 향후 성장 동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종합 평가
이 회사는 강력한 수익성 개선과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무적으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6기에 당기순이익과 EPS가 크게 증가한 점은 투자 매력도를 높이는 요소입니다. 또한 영업현금흐름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사업의 기본적인 현금 창출 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관계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점과 매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는 점은 주의해야 할 요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무지표 전반의 개선과 특히 수익성 지표의 큰 폭 향상은 이 회사가 투자 가치가 있는 기업임을 시사합니다.
투자 결정을 위해서는 재무제표 외에도 회사의 사업 모델, 업종 전망, 경쟁 환경, 경영진의 역량 등을 추가로 검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투자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공시 토스증권 재무제표 분석 - 토스 상장 관련주 (2) | 2025.04.09 |
---|---|
25년 네이버 주식 살까 말까? (0) | 2025.04.03 |
25년 공시 삼성전자 재무제표 분석 - 삼성전자 지금이라도 살까 말까? (0) | 2025.04.02 |
25년 공시 삼성전자 재무제표 분석 (0) | 2025.04.02 |
25년 공시 하이브 재무제표 분석 - 뉴진스는 하이브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1) | 2025.04.02 |